전국 병원·약국·의료기관 데이터를 무료로 다운로드하고, 다양한 공공 및 민간 서비스에 활용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심평원, 행정안전부, 국립중앙의료원 등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 앱 개발, 응급의료 시스템, 연구·교육</strong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전국 병원·약국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신뢰도 높은 정부기관 공식 포털에서 손쉽게 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A.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오픈데이터포털
- 데이터 종류: 병의원 및 약국 기본정보, 위치, 시설, 장비 현황
- 포맷: XLSX, CSV 다운로드 가능
- 업데이트: 분기별 최신 정보 제공
- 링크: 심평원 다운로드
B. 행정안전부 의료기관 표준데이터
- 포함 정보: 병원명, 위치 좌표, 진료과목, 규모
- 특징: CSV 포맷 제공, GIS 분석 활용 가능
- 링크: 공공데이터포털 바로가기
C. 국립중앙의료원 약국 정보
- 정보: 주소, 운영시간, 진료 요일 포함
- 주의: 실제 운영시간은 전화 확인 필수
- 링크: 약국 데이터 다운로드
병원·약국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면 의료 접근성이 높아집니다.
기관 안내문, 응급 대응, 앱 개발 등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이 가능합니다.
2. 실제 활용 사례 소개
A. 병원·약국 찾기 앱/웹서비스
‘굿닥’과 같은 앱은 심평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병원 찾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진료과목, 운영시간, 주소까지 확인 가능하여 국민 편의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B. 응급의료정보 서비스
응급실 병상 현황, 중증질환 수용 가능 여부 등을 실시간 제공하여, 119 이송 결정 및 병원 배정 시스템에 활용됩니다.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과 생명률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 빅데이터 분석 및 의료서비스 개선
의료기관 데이터를 활용해 감염예방 시스템, AI 기반 진단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으며, 예) 분당서울대병원은 이를 통해 약물 오남용 예방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D. 기관·학교·지자체 정책자료
지자체는 의료기관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의료 취약지역을 개선하는 정책을 수립하며, 학교는 보건교육자료, 연구소는 논문 데이터로 활용 가능합니다.
공공데이터로부터 시작되는 의료혁신은 연구자, 정책담당자, 개발자 모두에게 열려 있습니다.
🏥 전국 의료기관 표준데이터 받기3. 다운로드 경로 요약
데이터명 | 제공기관 | 파일형식 | 다운로드 |
---|---|---|---|
전국 병의원 및 약국 현황 | 심평원 | XLSX, CSV | 바로가기 |
전국의료기관 표준데이터 | 행정안전부 | CSV | 바로가기 |
전국 약국 정보 | 국립중앙의료원 | XLS | 바로가기 |
전국 의료기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해 보세요. 공공데이터는 국민 건강과 의료 서비스 개선의 출발점입니다.